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는 태양광, 풍력, 수력, 연료전지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의 설계, 시공, 운영, 유지보수, 안전관리 등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 기후 변화 대응과 에너지 전환이 가속화되는 시대에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핵심 인력으로서, 취업과 경력개발에 큰 도움이 되는 자격증입니다.
응시자격
- 관련 학과(전기, 에너지, 기계 등) 4년제 대학 졸업(예정)자
- 3년제 전문대 졸업 + 1년 이상 실무경력
- 2년제 전문대 졸업 + 2년 이상 실무경력
- 동일·유사 분야 산업기사 자격증 + 1년 실무경력
- 순수 실무경력 4년 이상(비전공자 가능)
- 응시자격은 큐넷에서 공식 확인 필요
시험과목 및 합격 기준
1차 필기시험
- 객관식 80문항(과목당 20문항, 4과목)
- 과목: 신재생에너지 개론, 설비운영, 설계 및 시공, 안전관리 등
- 과목별 40점 이상 및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 시 합격
2차 실기시험
- 주관식 서술형 15~20문항(문항당 4~8점, 부분점수 있음)
- 실무 중심의 문제 출제(설계, 시공, 운영, 안전관리 등)
- 60점 이상 득점 시 합격
- 필기 합격자만 실기 응시 가능
2025년 시험 일정
- 연 3회(상·하반기) 실시, 원서접수 및 시험일정은 큐넷 홈페이지에서 확인
- 필기시험 합격 후 실기시험 응시 가능
- 각 회차별 일정은 1~2개월 간격으로 진행
진로 및 취업 전망
-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설계·운영·관리
- 건설·시공업체, 에너지 관련 기업, 공공기관, 연구소 등 진출
- 정부 및 지자체의 에너지 정책 기획 및 기술 지원
- 해외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참여 기회 확대
- 산업 성장세와 정부 정책에 힘입어 취업 및 이직, 승진에 매우 유리
연봉 및 현실
- 신입 기준 연 3,000만 원 내외, 경력에 따라 4,000만 원 이상 가능
- 대기업, 공공기관, 발전소 등은 연봉이 더 높을 수 있음
- 경력과 전문성에 따라 연봉 상승폭이 큼
시험 준비 전략
- 기본 이론과 실무 중심의 학습 병행
- 기출문제 및 모의고사 반복 풀이
- 실기 대비 실무 경험 및 현장 사례 학습 강화
- 안전관리, 법규 등 최신 트렌드 반영
- 온라인 강의, 스터디 그룹, 전문 학원 등 다양한 학습 방법 활용
자주 묻는 질문
- 비전공자도 응시 가능한가요? → 실무경력 4년 이상이면 응시 가능
- 난이도는 어떤가요? → 기사 자격증 중 중상급, 실기에서 실무 경험이 중요
- 합격률은? → 연도별로 다르나 20~30% 내외
- 취업처는 어디인가요? → 발전소, 건설사, 에너지기업, 공공기관, 연구소 등 다양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자격증은 친환경 에너지 시대의 핵심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필수 자격입니다. 2025년에도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성장과 함께, 이 자격증을 통해 더 넓은 진로와 안정적인 미래를 준비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