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능사는 냉동 및 공기조화 설비의 설치, 운전, 유지보수에 필요한 실무 능력을 인증하는 국가기능사 자격증입니다. 냉난방, 냉동, 공조 설비가 일상생활과 산업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면서 관련 전문 인력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공조냉동기능사는 취업과 경력 개발에 유리한 자격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시험 과목 및 구성
필기시험
- 시험 유형: 객관식 4지선다형
- 문항 수: 60문항
- 시험 시간: 60분
- 과목:
- 냉동 일반 – 냉동의 기본 원리, 냉동 사이클, 냉매의 종류 및 성질
- 공기조화 일반 – 공기의 조화, 공조기 구성 및 작동 원리
- 전기 및 제어 – 전기 기초, 제어 회로, 자동제어 장치
- 안전관리 및 배관 – 작업장 안전, 가스 누설 및 폭발 예방, 배관 작업 이론
- 합격 기준: 100점 만점에 과목별 40점 이상, 전체 평균 60점 이상
실기시험
- 시험 유형: 작업형(동관 작업) 및 필답형(서술형)
- 시험 시간: 약 3시간 (동관 작업 1시간 55분, 필답형 1시간)
- 평가 내용: 동관 절단, 굴곡, 접합 작업 및 냉동 설비 유지보수 관련 문제
- 합격 기준: 두 시험 점수 합산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2025년 시험 일정
회차 | 필기 원서접수 | 필기 시험 | 필기 합격자 발표 | 실기 원서접수 | 실기 시험 | 최종 합격자 발표 |
---|---|---|---|---|---|---|
1회 | 1.6 ~ 1.9 | 1.21 ~ 1.25 | 2.6 | 2.10 ~ 2.13 | 3.15 ~ 4.2 | 4.18 |
2회 | 3.17 ~ 3.21 | 4.5 ~ 4.10 | 4.16 | 4.21 ~ 4.24 | 5.31 ~ 6.15 | 7.4 |
3회 | 6.9 ~ 6.12 | 6.28 ~ 7.3 | 7.16 | 7.28 ~ 7.31 | 8.30 ~ 9.17 | 9.30 |
4회 | 8.25 ~ 8.28 | 9.20 ~ 9.25 | 10.15 | 10.20 ~ 10.23 | 11.22 ~ 12.10 | 12.24 |
시험 준비 방법
- 필기시험은 기출문제 중심으로 반복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문제은행 방식으로 출제되어 기출문제를 충분히 풀어보면 합격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실기시험은 동관 작업과 필답형 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형 실습을 충분히 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독학이 어려운 경우 국민내일배움카드 등을 활용해 실무 교육을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 안전관리 지식과 전기 및 제어 기초도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공조냉동기능사 연봉 및 전망
공조냉동기능사의 평균 연봉은 약 3,000만 원 정도이며, 경력과 능력에 따라 4,000만 원 이상도 가능합니다. 특히 기사 자격증 취득 후 경력을 쌓으면 6,000만 원 이상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냉난방과 냉동 설비가 필수적인 현대 산업과 생활 환경에서 공조냉동기능사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안정적인 취업과 커리어 발전이 기대됩니다.
취업 분야
- 공조냉동설비 설치 및 유지보수 업체
- 냉난방 및 냉동장치 제조업체
- 건설 및 감리 전문 업체
- 에너지 관리 및 환경 관련 기업
- 병원, 대형 빌딩, 공장 등의 시설관리팀
공조냉동기능사 자격증은 실무 능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자격증으로, 관련 분야에서 취업과 경력 발전에 큰 도움이 됩니다. 2025년에도 공조냉동기능사 자격증 취득을 통해 전문 기술인으로 성장해보세요.